2025. 4. 19. 15:38ㆍ아름다운 글
"위험한 사람, 민주적이지 않은 사람, 불안한 사람, 덕성이 모나지 않은 사람이 많은 권럭을 갖게 되면 불행은 필연적으로 따를 수밖에 없다. 개인의 불행을 넘어 국가의 불행이 되고 국민의 불행이 된다. 그 불행을 막자는데 한 분이 반대하고 있다. 아마도 대선에 영향을 주거나, 권력이 줄어드는 게 싫어서 일 것이다. 위함한 사람이 많은 권력을 가지면 국가와 국민이 불행해지는 만큼 막아야 한다. 더불어민주당 지난 3년간 뭘 했는지 돌아봐야 한다. 29번 탄핵에 30번째 탄핵을 거론하고, 헌법에서 정한 한법재판관 임기를 연장하는 법안을 만들고. 이게 뭐하자는 거냐? 방탄을 위한 거 외에 다른 게 있나? 억지 방탄으로 보호받은 사람을 대통령으로 만들어 최강의 방탄복을 입히겠다, 그러면 대한민국의 민주주의와 법치주의는 어떻게 되겠나? 온갖 방법을 동원해 재판을 미루는 바람에 사법리스크가 미해결의 국가적 리스크로 남아 있게 됐는데, 최강의 방탄복을 입혀 무마시키겠다 하면 법치와 민주주의를 짓밟고 유린하겠다는 얘기 아니냐? 그렇게 해서 지금의 대한민국을 책임질 수 있다고 생각하나? 대한민국은 지금 분열돼 있다. 친구도 가족도 정치 얘기를 하면 조심스러워지는 나라가 됐다. 이게 내전이 아니고 뭐냐? 내전을 끝내기 위해서라도 개헌이 필요한데, 개헌을 거부하는 것은 내전을 계속하자는 뜻 아닌가? 모질고, 치우치고, 덕성도 천박한 지도자가 나온다면 권력은 흉기가 될 것이다. 국민들께 호소드린다. 선거 때 사람을 봐달라. 대한민국이 위기에 빠진 이유는 사법부 불신 때문이다. 똑같은 죄를 지었는데, 판사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면 사법부가 아니다. 판사가 어디 출신이고, 어디 소속이고, 누구와 친한지 따져봐야 한다면 그건 이미 선진국이 아니다. 피땀 흘려 세운 대한민국이 고작 이것인지 사법부는 반성해야 한다. 맹성하지 않으면 국민의 분노가 사법부를 향할 것이란걸 분명히 경고한다. 이 와중에 더불어민주당은 임기가 끝나는 헌법재판관 임기를 연정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헌법에 정해진 재판관 임기를 하위 법률로 마음대로 늘리겠다는데, 그러고도 국정을 맡겨달라고 호소할 수 있나? 그런 난폭한 짓 그만해라. 대한민국 정치는 파탄났다. 대한민국의 위기는 정치 파탄으로부터 비롯됐다. 난폭한 거대 야당은 국정을 맡길 만한 믿음을 국민들에게 주는데 실패했다. 어렇게 난폭하고 거친 정치 이젠 킅내야 한다. 1987년 헌법 개정 이후 38년이 흘렀다. 정부 수립 이후 39년간 헌법을 8번 바꿨다. 헌법의 평균 수명은 5년이 안되는데, 이번 헌법만 수명이 38년이다. 너무 오래돼서 바꾸자는 것뿐만 아니라 그간 8명의 대통령 중 4명이 감옥에 가고, 2명은 그 아들이 감옥에 가고, 나머지 한명은 퇴임 후 검찰 조사를 받다 참담한 죽음을 겪었다. 3명의 대통령이 탄핵돼 2명이 파면 당했다. 또 나머지 한명도 퇴임 후 여러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한민국의 대통령은 영광의 자리가 아니라 치욕이 예정된 자리다." 새미래민주당 상임고문을 맡고 있는 이낙연 전 국무총리는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사법부를 향해 직격탄을 날렸다. 자성을 촉구하는 일침과 함께 위함한 사람에게 권력을 맡겨선 안된다고 역설했다. 이재명 전 대표를 '위함한 사람'으로 보는 견해는 이낙연 전 총리뿐만 아니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한국에서 가장 위험한 사람(MDMK)'으로, 안철수 의원은 '우리 아이들의 미래에 극히 위험한 사람'으로, 유승민 전 의원도 '이재명은 위험한 사람'이라고 밝히고 있다. 앞서 한 외신기자는 이재명 전 대표 측근들의 잇따른 죽음과 관련해 '당신은 위험한 사람이냐(Are you a dangerous man)"는 수치스러운 질문을 받기도 했다. 실제 이재명의 주변 인물 6명 사망사건은 아직도 미스터리다. '이재명 측근 6명 의문사 특검'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한 여론조사에서도 이재명은 '가장 위험한 사람'으로 꼽혔다. '정치인 중 가장 위험한 사람은 누구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2030세대 응답자의 42.0%가 이재명 대표라고 답했다. 또 '형사사건 기소 재판 중인 피고인이 대통령이 될 경우 재판 진행 여부'에 대한 질문에는 2030세대 응답자 중 과반 이상인 51.8%가 '대통령에 당선되더라도 재판을 계속해야 한다'고 답했다. 자세한 여론조사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위험한 사람 #권력 #흉기 #정치 파탄 #이재명 #포비아(공포) #사법리스크 #사법부 #법치 #민주주의 #이낙연 #
'아름다운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명 '포비아'와 '사법리스크' (1) | 2025.04.11 |
---|---|
그럼에도 대한민국은 계속해서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 (0) | 2025.04.06 |
이재명의 극언 "이성 잃었다" (0) | 2025.04.04 |
허위사실 공표 혐의 벗는 '꿀팁' (0) | 2025.03.28 |
"그 많던 법관의 양심은 누가 먹었을까" (0) | 202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