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서 ‘계룡산 철화분청문화제’ 개막

2024. 10. 27. 12:20생생공주

공주서 ‘계룡산 철화분청문화제’ 개막
기자명 이건용 기자   입력 2024.10.27 07:37  
지난 25일부터 내달 10일까지 다채

▲ 중부권 대표 관광명소로 계룡산 자락에 위치한 충남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일원에서 내달 10일까지 철화분청문화제와 국화축제가 함께 열려 깊어가는 가을을 만끽할 수 있을 전망이다. 사진은 ‘백인백색’ 도자기 체험. 이건용 기자

제5회 계룡산 동학동 철화분청문화제가 지난 25일 개막해 다음달 10일까지 다채롭게 펼쳐진다.

계룡산국립공원 자락에 위치한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마을광장 일원에서 16일간 펼쳐지는 이번 행사는 이날 개막식을 시작으로 무명 철화분청사기장 추모제와 철화분청사기 전시회가 열린다.

무명 철화분청사기장 추모제는 오는 11월 1일 오후 2시부터 사적 333호인 학봉리 도요지에서 엄수되며, 철화분청사기 전시회는 1일부터 10일까지 학봉철화분청관에서 계속된다.

철화분청문화제 기간 국화축제도 마련돼 가을 단풍 나들이를 위해 계룡산을 찾는 탐방객들에게 또 다른 즐거움을 선사할 전망이다.<본보 2024년 10월 24일 보도 - ‘제1회 계룡산 국화길 여행’ 오는 28일 개막>

공주시 계룡산축제추진위원회가 주최하는 ‘제1회 계룡산 국화길 여행’은 국화 개화시기를 고려해 28일 개막해 10일까지 계룡산 무풍공원(동학사2로 145) 일원에서 개최된다.

축제 기간 가을철 단풍과 함께 일대에 펼쳐진 국화길과 다양한 조형물 등 화려한 볼거리는 물론 철화분청도 감상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전망이다.

조종찬 철화분청마을 대표는 “이번 문화제를 통해 철화분청을 더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며 “계룡산 자락에서 깊어가는 가을을 만끽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자수첩] 분청사기에 핀 철화와 이삼평의 ‘눈물’

‘제1회 계룡산 국화길 여행’ 오는 28일개막
이어 “도자기에 화정토를 바른 후 산화철로 대담하고 추상적으로 민초들의 삶을 표현한 도자기는 세상 어느 곳에서도 볼 수 없는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이라며 “철화분청의 가치를 드높이고 계승할 수 있도록 더욱 힘쓰겠다”고 덧붙였다.

대한민국 3대 도자기 중 하나로 꼽히는 철화분청사기는 충남 공주시 반포면 계룡산 일대에서 대량 생산된 산화철로 그림이 그려진 분청사기다.

철화분청사기는 검붉은 태토에 귀얄로 막걸리색 분장토를 바르고, 그 위에 짙은 먹쑥색의 산화철로 익살스런 민화 고기나 당초문, 추상문을 그려 넣는다. 투박한 질감에 담백한 한지 같은 분장토, 비대칭 형태의 기물 위에 자연철로 추상적인 문양을 그린 철화분청은 도자 예술의 극치를 보여준다.

계룡산 자락인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일대는 분청사기를 만들 수 있는 천연의 도자 보고다. 관립 가마터로 사적 제333호로 지정된 5호분 가마와 5-1호분 가마 등 인근에 15곳에 이르는 가마터가 있었다.

또 독특한 철화 원료를 캐냈던 공주시 향토문화유적 제30호 구무동굴에 일본을 대표하는 아리타자기의 시조로 불리는 공주 출신의 자기장 이삼평 현창비가 우뚝 선 이삼평공원까지 한마디로 도자문화의 ‘보물창고’다.<본보 2022년 8월 3일 보도 - [기자수첩] 분청사기에 핀 철화와 이삼평의 ‘눈물’>

또 계룡산은 백자 태토가 없다는 일각의 주장과 관련해선 ‘분토골’(백자흙) 지명이 있을 정도로 계룡산은 백자광이 많으며, 아리타에서 생산되는 도자는 태토빚음 받침이나 계룡산은 모래받침이라는 주장에 대해선 온천리 가마터는 태토빚음 받침으로, 온천리가마터는 학봉리보다 반세기 전에 만들어졌다고 강조했다.

특히 최근 도자기를 만들기 위한 흙 백자광(白磁鉱)이 최초로 발견돼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계룡산은 백자 태토가 없다는 일각의 주장이 사실이 아님을 증명할 수 있게 됐다. ‘분토골’(백자흙) 지명이 있을 정도로 계룡산은 백자광이 많았다는 사실을 뒷받침할 수 있게 됐다.<본보 2023년 7월 17일 보도 - [핫이슈] 이재황 교수 “아리타 도조 이삼평은 공주사람”>

아울러 이재황 한남대 교수(공주시 도자명장 1호)의 ‘16세기 중반 계룡산 분청이 단절된 후 당시 조선에선 백자만 생산해 이삼평 또한 백자만 만들었으며, 온천리와 학봉리 가마는 분청과 백자를 함께 생산했다’는 주장이 사실로 입증됐다.

공주=이건용 기자 lgy@ggilbo.com

#분청사기 #철화분청 #공주시 #계룡산 #단풍 #국화길 #도자기 #구무동굴 #분토골 #백색 분장토 #이삼평 #가마터 #이재황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