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gongjunews.net/www/data/cheditor/0807/_copy52.jpg) |
▲ 공주대 교명변경과 관련해 장원석, 방재천, 박춘규씨 등 범대위 관계자 3명이 공무집행방해 등의 혐의로 불구속 기소돼 오는 18일 첫 공판을 받게 됐다. |
ⓒ 공주뉴스 이건용 |
공주대가 결국 법적 대응 카드를 꺼내들면서 최근 공주대-공주시-시민간 화해무드에 악영향은 물론 향후 또 다른 파국으로 치닫지 않을까 염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공주대학교는 지난 2월 장원석, 방재천, 박춘규씨 등 범대위 위원 3명을 공무집행방해 등의 혐의로 대전지검 공주지청에 고소, 그동안 경찰 수사가 진행돼 왔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로는 공주시와 상생협력체결을 위한 협약서 초안을 작성하는 등 일부 유화적인 제스처를 취해 공주대의 형사고소 건이 취하되는 것 아니냐는 조심스런 전망이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범대위 관계자 3명이 불구속 기소돼 사법부의 판단을 기다려야 하는 처지에 놓인 것이 알려지면서 공주지역 시민단체들이 발끈하고 나섰다.
공주지역 시민단체들은 15일 신관동 새마을회관 3층 회의실서 대책회의를 갖고 이번 형사고소 건과 관련해 향후 대책 등을 논의했다.
이들은 이날 우선 18일로 예정된 1차 심리 이전에 공주지법에 시민탄원서를 제출키로 하고, 이후 김재현 공주대 총장이 13만 공주시민에게 끼친 정신적·물질적 책임을 묻는 민사소송을 제기하기로 했다.
이와 더불어 지난 2월 초 공주대학교 교명변경 저지과정에서 공주대 김재현 총장을 비롯한 대학관계자들과 물리적인 마찰을 빚으면서 팔에 골절상을 입은 박춘규씨의 상해와 관련해 맞고소를 검토키로 했다.
특히 이날 범대위 관계자들은 “최근 언론보도를 통해 교명변경 재추진 움직임을 보이는 등 김재현 총장의 교명변경 야욕을 아직도 그대로”라면서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고 있는 만큼 경계의 고삐를 더욱 단단히 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한편, 이번 사태로 말미암아 그동안 진정국면에 들었던 공주대 사태가 또다시 전면전 양상으로 번지지 않을까 우려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