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행정망에 권리당원 확보 부탁 글 올려 ‘물의’
2021. 4. 4. 14:47ㆍ생생공주
공공행정망에 권리당원 확보 부탁 글 올려 ‘물의’
기자명 이건용 기자 입력 2021.04.04 08:19 수정 2021.04.04 08:21
공주 A어린이집 원장 부랴부랴 삭제 불구 잡음 지속
공주 A어린이집 원장이 공공 행정망에 권리당원 모집을 부탁하는 글과 함께 권리당원신청서 양식을 올려 물의를 빚고 있다. 이건용 기자
[금강일보 이건용 기자] ‘최훈 도의원과 임달희 시의원님이 부탁을 하셨어요. 저희가 의원님들께 환경개선비 등 여러 도움을 받고 있으니 도와드려야 할 것 같아요. 어려우시더라도 교직원들께 최대한 많이 받아주세요. 표시한 곳만 쓰시면 되고 한 달에 당비 1000원 빠져 나갑니다. 연말정산에 100% 환급도 된다고 하네요. 10번만 나가고 해지하셔도 되니 어렵지만 부탁드립니다. 앞으로도 힘껏 돕겠다고 하십니다. 내일까지 부탁드려요.’
공주지역의 A어린이집 원장이 공공 행정망에 권리당원 모집을 부탁하는 글과 함께 권리당원신청서 양식을 올려 물의를 빚고 있다.
지난 1일 오전 9시 55분 작성된 해당 글은 공주시가 운영 중인 어린이집지원시스템 업무연락망에 개제됐고, 다른 8곳의 어린이집 원장들에게 보낸 것으로 확인됐다.
권리당원 확보를 부탁한 두 의원에 대한 ‘선심성’ 예산 퍼주기 논란과 함께 선거법 위반 소지가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자 A어린이집 원장은 부랴부랴 해당 글을 삭제했다.
하지만 한 어린이집 원장의 적절치 못한 행동은 급속도로 퍼져 민의의 전당의 도마에까지 올랐다. 이창선 의원은 올해 첫 추가경정예산안을 심사하는 과정에서 해당 글을 거론하며 “국민혈세인 나랏돈을 개인 돈처럼 활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당원 확보를 위한 선심성 예산 퍼주기 또는 특혜성 예산 지원으로 해석할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
문제가 불거지자 사태 파악에 나선 공주시는 한 어린이집 원장의 개인적인 일탈로 결론짓고, 향후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관내 57개 어린이집 원장들에게 공공행정망을 사적으로 활용하는 일이 없도록 협조를 요청하는 공문을 발송했다.
공주시선거관리위원회 또한 선거법 위반 소지가 있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검토 결과 선거법에 저촉되지 않는다는 판단을 내렸다.
A어린이집 원장은 이번 논란과 관련해 “문제가 될 줄 모르고 글을 올렸다가 실수를 인지하고 곧바로 삭제했다”며 “공문서가 오가는 시스템에 올린 부분은 경솔했다”고 잘못을 시인했다.
이어 “특별한 부탁이 있었던 것은 아니고, 평소 권리당원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걸 알아 친분 있는 몇몇 원장님들께 부탁을 드린 것으로, 제가 권리당원으로 있다 보니 단순히 도와드리고 싶은 마음에 나선 것 뿐”이라고 덧붙였다.
최훈 도의원(민주당)은 “제가 오히려 죄송스럽다. 해당 어린이집 원장님은 제가 잘 모르는 분으로, 잘 아시는 원장님께 부탁을 드린 게 일이 커진 것 같다”면서 “권리당원으로 경선을 치르는데다 요즘 때가 때인 만큼 권리당원 확보에 바짝 신경을 쓰고 있지만, 늘 어렵고 힘든 부분이다. 어린이집 지원은 우리의 미래를 위한 투자라는 점에서 늘 신경 쓰고 있다”고 말했다.
임달희 시의원(민주당)은 “해당 어린이집이 아니라 다른 어린이집 원장님께 권리당원 확보를 부탁을 드린 사실은 있다”면서 “선심성 예산 지원이라는 주장은 말도 안 되는 소리로, 아내가 예전에 어린이집을 운영하면서 많은 어려움을 겪은 것을 알기에 조금이라도 보탬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민선7기 공약사항이기도 한 어린이집의 보육환경개선사업은 올해를 포함해 지난 3년간 매년 2억 8000여만 원의 예산이 투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사회적 이슈인 미세먼지와 관련한 공기청정기와 안전한 먹거리 제공을 위한 급식용 냉장고 등 어린이집의 기능보강을 위한 예산이 불과 3억 원에도 못 미쳐 공주시 관내 57개 어린이집을 지원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미래 세대를 책임질 아이들에게 고품질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고 부모가 믿고 맡길 수 있는 보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예산지원 확대 등 정책적 뒷받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공주=이건용 기자 lgy@ggilbo.com
#권리당원 #선거 #공주시 #공주시의회 #충남도의회 어린이집지원시스템 #보육환경개선 #어린이집
기자명 이건용 기자 입력 2021.04.04 08:19 수정 2021.04.04 08:21
공주 A어린이집 원장 부랴부랴 삭제 불구 잡음 지속
공주 A어린이집 원장이 공공 행정망에 권리당원 모집을 부탁하는 글과 함께 권리당원신청서 양식을 올려 물의를 빚고 있다. 이건용 기자
[금강일보 이건용 기자] ‘최훈 도의원과 임달희 시의원님이 부탁을 하셨어요. 저희가 의원님들께 환경개선비 등 여러 도움을 받고 있으니 도와드려야 할 것 같아요. 어려우시더라도 교직원들께 최대한 많이 받아주세요. 표시한 곳만 쓰시면 되고 한 달에 당비 1000원 빠져 나갑니다. 연말정산에 100% 환급도 된다고 하네요. 10번만 나가고 해지하셔도 되니 어렵지만 부탁드립니다. 앞으로도 힘껏 돕겠다고 하십니다. 내일까지 부탁드려요.’
공주지역의 A어린이집 원장이 공공 행정망에 권리당원 모집을 부탁하는 글과 함께 권리당원신청서 양식을 올려 물의를 빚고 있다.
지난 1일 오전 9시 55분 작성된 해당 글은 공주시가 운영 중인 어린이집지원시스템 업무연락망에 개제됐고, 다른 8곳의 어린이집 원장들에게 보낸 것으로 확인됐다.
권리당원 확보를 부탁한 두 의원에 대한 ‘선심성’ 예산 퍼주기 논란과 함께 선거법 위반 소지가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자 A어린이집 원장은 부랴부랴 해당 글을 삭제했다.
하지만 한 어린이집 원장의 적절치 못한 행동은 급속도로 퍼져 민의의 전당의 도마에까지 올랐다. 이창선 의원은 올해 첫 추가경정예산안을 심사하는 과정에서 해당 글을 거론하며 “국민혈세인 나랏돈을 개인 돈처럼 활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당원 확보를 위한 선심성 예산 퍼주기 또는 특혜성 예산 지원으로 해석할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
문제가 불거지자 사태 파악에 나선 공주시는 한 어린이집 원장의 개인적인 일탈로 결론짓고, 향후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관내 57개 어린이집 원장들에게 공공행정망을 사적으로 활용하는 일이 없도록 협조를 요청하는 공문을 발송했다.
공주시선거관리위원회 또한 선거법 위반 소지가 있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검토 결과 선거법에 저촉되지 않는다는 판단을 내렸다.
A어린이집 원장은 이번 논란과 관련해 “문제가 될 줄 모르고 글을 올렸다가 실수를 인지하고 곧바로 삭제했다”며 “공문서가 오가는 시스템에 올린 부분은 경솔했다”고 잘못을 시인했다.
이어 “특별한 부탁이 있었던 것은 아니고, 평소 권리당원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걸 알아 친분 있는 몇몇 원장님들께 부탁을 드린 것으로, 제가 권리당원으로 있다 보니 단순히 도와드리고 싶은 마음에 나선 것 뿐”이라고 덧붙였다.
최훈 도의원(민주당)은 “제가 오히려 죄송스럽다. 해당 어린이집 원장님은 제가 잘 모르는 분으로, 잘 아시는 원장님께 부탁을 드린 게 일이 커진 것 같다”면서 “권리당원으로 경선을 치르는데다 요즘 때가 때인 만큼 권리당원 확보에 바짝 신경을 쓰고 있지만, 늘 어렵고 힘든 부분이다. 어린이집 지원은 우리의 미래를 위한 투자라는 점에서 늘 신경 쓰고 있다”고 말했다.
임달희 시의원(민주당)은 “해당 어린이집이 아니라 다른 어린이집 원장님께 권리당원 확보를 부탁을 드린 사실은 있다”면서 “선심성 예산 지원이라는 주장은 말도 안 되는 소리로, 아내가 예전에 어린이집을 운영하면서 많은 어려움을 겪은 것을 알기에 조금이라도 보탬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민선7기 공약사항이기도 한 어린이집의 보육환경개선사업은 올해를 포함해 지난 3년간 매년 2억 8000여만 원의 예산이 투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사회적 이슈인 미세먼지와 관련한 공기청정기와 안전한 먹거리 제공을 위한 급식용 냉장고 등 어린이집의 기능보강을 위한 예산이 불과 3억 원에도 못 미쳐 공주시 관내 57개 어린이집을 지원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미래 세대를 책임질 아이들에게 고품질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고 부모가 믿고 맡길 수 있는 보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예산지원 확대 등 정책적 뒷받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공주=이건용 기자 lgy@ggilbo.com
#권리당원 #선거 #공주시 #공주시의회 #충남도의회 어린이집지원시스템 #보육환경개선 #어린이집
'생생공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진석 “무서운 민심, 쇄신과 변화로 응답해야” (0) | 2021.04.08 |
---|---|
[NEWS초점] 공주밤산업 활성화 한목소리 ··· 방법은 중구난방 (0) | 2021.04.05 |
[NEWS초점] 법정 문화도시 재수생 공주시 또 ‘헛발질' (0) | 2021.03.28 |
충남 공주 선출직 중 최고 자산가는 정진석 (0) | 2021.03.28 |
공주시 고도보존육성지역심의위원 추천 ‘논란’ (0) | 2021.03.25 |